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그래프
- Python
- 자바
- java_programming
- react
- SQL
- ubuntu
- 백준 17451번
- 그리디
- 머신러닝과 딥러닝
- AWS
- 백준 1987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백준 2512번
- 모각코
- SWEA 15612번
- HUFS 모각코 캠프
- 명품자바
- 깃헙
- 백준 15787번
- javascript
- 백준 16918번
- 알고리즘
- 백준 3085번
- 백준 18310번
- 백준 1253번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MySQL
- 백준 1331번
- 백준
Archives
- Today
- Total
차곡차곡
[React] #3 컴포넌트 본문
컴포넌트는 SPA를 지향하는 React에서 사용하는 앱을 이루는 최소 단위이다. MVC 방식으로 관리되는 기존의 웹 프레임워크는 각 요소의 의존성이 높아 재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. 반면 컴포넌트는 MVC의 view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컴포넌트를 쉽게 만들 수 있다.
☝🏻 MPA vs SPA
MPA(Multiple Page Application) : 여러 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으로, 사용자가 요청할 때마다 서버에 다른 페이지를 요청해서 받아온다. 전체 페이지를 불필요한 부분까지 다시 렌더링 해야 하기 때문에 상태 유지의 어려움 + 불필요한 로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.
SPA (Single Page Application) : 한 개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으로, 처음 요청 시에 하나의 페이지만 불러오고 페이지 이동이 필요할 시에 새로운 페이지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화면의 구성 요소들이 바뀌는 방식의 웹사이트이다.
컴포넌트 선언 방식
1. 클래스형 컴포넌트
- state 기능, 라이프 사이클 기능 제공
- render 함수 필수 (render 함수 내 리턴문에서 JSX 반환)
2. 함수형 컴포넌트
- state 기능, 라이플 사이클 기능 사용 불가 → Hooks 도입으로 해결
- 편한 선언과 적은 메모리 사용
☝🏻함수형 컴포넌트 사용 권장
💥 리액트 컴포넌트 이름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해야 한다.
'Web programming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#4 state (0) | 2022.07.06 |
---|---|
[React/실습] 투두리스트 제작 #1 (7) | 2022.07.05 |
[React] #2 Props (5) | 2022.07.04 |
[React] #1 JSX (2) | 2022.07.04 |
[코딩앙마] React JS #1~8 (0) | 2022.06.29 |
Comments